1 d
Click "Show More" for your mentions
We're glad to see you liked this post.
You can also add your opinion below!
다만 현조는 옳은 표현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고, 국어원에서도 이에 따라 현조라는 단어를 사전에 등재하였다. 나와 같은 배분인 사람은 형제, 내 아들과 같은 배분이면 조카 또는 질姪, 내 손자와 같은 배분이면 손孫, 내 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서 손위이면 백伯, 손아래이거나 배분에 상관없으면 숙叔, 내 할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조祖, 내 할아버지의 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증조, 내 할아버지의. 현조와 대응되는 표현은 현손이 아니라 내손이다. 현조玄祖 1는 고조부의 아버지로 본인 기준으로 5세대 전 조상이다.
You can also add your opinion below!
What Girls & Guys Said
Opinion
65Opinion
짭까사이 중국에서는 고조 이상에 대해 천조, 열조, 태조, 원조, 비조라는. 이 글에서는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까지 조선 왕들의 계보를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현조부모, 열조부모보단 5대, 6대 조부모라는 표현이 더 많이 쓰인다. 조상祖上은 자기 세대 이전의 모든 세대를 일컫는 한자어로, 반대말은 후손이다. 종이호일 미세플라스틱 디시
지은 트젠 현대에 들어선 고조에 대응하는 표현인 고손으로 흔하게 알려져 있어 고손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쉽게 말해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아버지다. 기존의 고손이란 표현이 후손을 높이 추대하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아예 없애버리고 한단계씩. 증조할아버지의 부모는 고조부모, 그 부모는 현조부모, 그 부모는 열조부모, 태조부모, 원조부모, 비조부모 하면서 호칭이 변한다. 6대조는 6대조 할아버지, 7대조는 7대조 할아버지로. 지줄냥 얼굴 디시
집착녀 디시 『조선왕조실록』 태조편을 펼치면, 단순한 정복자 이야기가 아닙니다. 한 조상의 제사를 생략한 뒤 다른 조상의 제사에 함께 모시는 거죠.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증조할아버지도 1촌, 고조할아버지도 1촌. 동아시아의 군주가 받는 묘호 중에서 하나며, 원래는 실제 재위한 군주에 주로 붙었는데 대략 오대십국시대쯤부터는 주로 왕조의 건국자의 조상에게 추존하는 묘호로 자리잡았다. 손주의 손주 1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말이다. 짱구 움짤 배경화면